"무인 배송시스템인 스타십(Starship)은 음식배달 로봇이다. 에스토니아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광경 중 하나다. 현재 영국이나 미국에서도 도입됐다."
스텐 슈베데 주한 에스토니아 대사는 지난 17일 서울 중구 주한 에스토니아 임시 공관에서 매경닷컴과의 인터뷰를 통해 성공적인 에스토니아 스타트업 회사 중 한 곳에 대해 스타십을 꼽으면서 "배달 주문하면, 자율 로봇이 주문자한테 간다. 주문자가 (로봇) 뚜껑을 열면 음식을 수령할 수 있다"라고 소개했다.
북유럽 발트해안과 러시아를 접하고 있는 에스토니아는 고도의 첨단 정보통신(IT) 강국이다. 에스토니아 인구수는 130만 명 수준으로 서울(950만)의 7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 하지만, 에스토니아는 최첨단 정부로 명성이 높다. 은행 계좌 개설을 비롯해 회사 설립, 소득세 신고, 자동차 등록 등을 몇 분 내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에스토니아는 2014년부터 '전자영주권(e-Residency)'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 에스토니아는 뷰로크라트(Bürokratt)라는 이름의 AI 공무원이 2020년부터 도입됐다. 스텐 슈베데 대사는 "지금까지 불편한 점은 수천 개의 (전자 행정) 서비스가 있는데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았다. 본인들이 지원해야 하는 어떤 서비스를 직접 수동적으로 하나하나 찾아서 신청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라면서 "부모가 관공서에 찾아가거나 온라인으로 직접 찾아보지 않아도 아이의 출생과 모든 것들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많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당 디지털 도우미는 일종의 음성 인식 서비스로 시민들의 신청서 제출, 세금 납부, 출생 신고 등의 업무를 도울 예정이다.
에스토니아는 30년 전 2000달러에 불과하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020년 기준 2만 3000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1991년 국교를 수립한 뒤 에스토니아는 지난해 한국에 처음 대사를 파견했다.
- 사이버 보안은 디지털 사회에서 필수적이다. 에스토니아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사이버 안보는 디지털화 된 국가에선 당면해야 할 과제다. 에스토니아는 지난 2007년 정치적 이유 때문에 사이버 공격을 당했다. 이후 에스토니아 군에서는 사이버 보안에 대한 부대를 창설하고 현재 운영하고 있다. 사이버방위센터(CCDCOE)라는 사이버 안보 전문 기관이 에스토니아 탈린에 있다. 나토 회원국 뿐 아니라 한국도 정회원으로 가입했다.
특히, (에스토니아) 국민들의 개인정보가 모두 국가 기관 서버에 저장돼 있다. 현대 재래식 전쟁이라든지 여러 가지 전쟁에 대비해서 모든 국민들의 정보들을 룩셈부르크에 백업시켜 놨다. 주기적으로 정보들을 업데이트 한다. 만약 에스토니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언제든지 정보들을 백업할 수 있도록 구축해 놨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