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HEPI "신체활동 중요성 국민 인식 제고 시급"
청소년 하루 11시간 앉아 생활…학습 외 3.4시간
19세 이상 성인들이 평균 하루 중 3분의 1을 앉아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규칙적인 신체 활동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KHEPI)은 국민의 좌식 행동 시간 증가에 관해 우려를 표하고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관한 국민 인식 제고가 시급하다고 26일 밝혔다.
좌식 행동은 앉아서 에너지를 거의 소모하지 않는 모든 활동을 의미하며 업무나 학습 중 앉아 있는 시간, TV를 시청하거나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시간 등을 포함한다.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하루 좌식 행동 시간은 2018년 8.3시간에서 2023년 9.0시간으로 증가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하루 평균 11시간 앉아서 생활했다. 이중 평일에 학습 이외의 목적으로 앉아 있는 시간이 2017년 2.6시간에서 2023년 3.4시간으로 늘었다.
좌식 행동은 근골격계 질환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 질환과 암 발생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좌식 행동 및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배포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성인은 일주일에 최소 150분 이상의 중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하거나 최소 75분 이상의 고강도 유산소 신체활동을 조합해 실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신체활동 강도는 심박수와 운동자각도(RPE), 대사당량(MET·휴식 때 에너지 생산을 위해 몸에서 필요로 하는 산소의 양)의 세 가지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중강도 신체활동은 심박수 기준 최대심박수의 64~76%, 여유 심박수의 40~59, 운동자각도 기준 5~6, 대사당량 기준 3~6MET에 해당한다. 이는 대화가 가능하고 땀이 나는 수준으로 골프, 댄스, 걷기, 자전거 타기 등이 있다.
고강도 신체활동은 심박수 기준 최대 심박수의 77~95%, 여유 심박수의 60~89%, 운동자각도 기준 7~9, 대사량 기준 6 MET 이상에 해당한다. 이는 대화하기 어려울 정도로 숨이 차는 수준으로 달리기, 줄넘기, 수영, 축구, 테니스 등이 있다.
KHEPI는 보건복지부와 함께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을 개발·배포했으며 WHO 가이드라인의 한국어 번역본도 발간했다.
김헌주 KHEPI 원장은 "신체활동의 부족은 WHO에서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꼽을 만큼 건강을 위협하는 중대한 요인이므로 생애주기 별로 권장하는 신체활동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스템 1과 시스템 2: 대니얼 카너먼의 생각에 관한 생각 (39) | 2025.03.01 |
---|---|
나이 들수록 얼굴 관자놀이에 신경 써야 하는 이유 (46) | 2025.02.28 |
전 세계 거부들이 돈 빌려줄 때 핵심 기준은 ‘인격’ (41) | 2025.02.26 |
2024 국민 삶의 질 변화 요약 (33) | 2025.02.25 |
개인 성향도 자산 격차 벌리는 큰 요인 (26) | 2025.02.2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