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1~5년차 신혼부부의 절반 가량은 자녀를 두지 않고 맞벌이하는 '딩크족' (Double Income No Kids)으로 나타났다.
결혼과 출산이 감소한 가운데 맞벌이가 늘면서 신혼부부의 소득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통계청은 1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신혼부부 통계'를 발표했다.
작년 11월 1일 기준으로 혼인신고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부부가 대상이다.
신혼부부는 2021년 110만1천쌍에서 지난해 103만2천쌍으로 6만9천쌍(6.3%) 감소했다.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된 2015년 147만2천쌍에 달했던 신혼부부는 2016년 143만7천쌍, 2017년 138만쌍, 2018년 132만2천쌍, 2019년 126만쌍, 2020년 118만4천쌍 등으로 매년 5만~8만명씩 줄고 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에는 100만쌍을 밑돌 것으로 보인다.
17개 시·도 모두 신혼부부 수가 줄었다. 신혼부부의 29.9%가 경기도에 거주했고, 서울(17.8%)·인천(6.1%)까지 전체의 과반이 수도권에 신혼살림을 차렸다.
신혼부부 중 초혼이 81만5천쌍(79.0%)이었고, 재혼은 21만4천쌍(20.7%)이었다. 재혼 비중은 2015년 19.9%에서 지난해 20.7%까지 높아졌다.
초혼 신혼부부를 기준으로, 자녀가 없는 부부는 46.4%로 전년(45.8%)보다 0.6%포인트 증가하면서 2015년 통계작성 이후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뒤집어 말하면 유자녀 비중은 53.6%로 0.6%포인트 감소했다.
평균 자녀 수도 0.01명 줄어든 0.65명으로 역대 가장 낮았다.
맞벌이 비중은 2021년 54.9%에서 지난해 57.2%로 2.3%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신혼부부의 소득 증가로 이어졌다. 연간 평균소득은 6천790만원으로 전년(6천400만원)보다 6.1% 늘었다. 맞벌이 부부의 소득은 8천433만원으로, 외벌이(4천994만원)보다 약 1.7배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맞벌이 문화 속에 소득 수준이 높아졌지만, 대출은 늘고 주택보유 비중은 줄었다.
신혼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지난해 1억6천417만원으로 전년보다 7.3% 불어났다. 신혼부부의 89.0%가 대출을 보유하고 있었다.
주택을 보유한 신혼부부 비중은 42.0%에서 40.5%로 1.5%포인트 감소했다.
맞벌이는 자녀 여부에도 변수로 작용했다.
맞벌이 부부 가운데 유자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59.4%)보다 9.6%포인트 낮았고, 평균 자녀 수에서도 맞벌이 부부는 0.59명으로 외벌이 부부(0.73명)보다 0.14명 적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38544?sid=101
"청약통장에 딱 600만원만 넣으세요" 그 이유는… (115) | 2023.12.12 |
---|---|
내년 여행 트렌드는 ‘S.O.F.T’···짧게 자주 떠난다 (94) | 2023.12.12 |
한진해운 파산에 휘청인 韓 해운업, HMM 매각에 또 출렁 (65) | 2023.12.11 |
비트코인 떨어지고 있어 기분이 (60) | 2023.12.11 |
HDD·SSD 넘는 ‘1g당 215페타’ 잠재력…DNA 저장장치 첫선 (75) | 2023.12.11 |
댓글 영역